{"type":"img","src":"https://cdn.quv.kr/ugzfopiwh%2Fup%2F651d1c184d71d_1920.gif","height":30,"scroll":"https://cdn.quv.kr/ugzfopiwh%2Fup%2F651d1bec8ea49_1920.gif"}
  • About Us
  • Business
  • R&D
  • PR
  • Careers
  • {"google":["Noto Sans"],"custom":["Noto Sans KR"]}
    ×
    섹션 설정
  • About Us
  • Business
  • R&D
  • PR
  • Careers
  • {"type":"img","src":"https://cdn.quv.kr/ugzfopiwh%2Fup%2F651d1c184d71d_1920.gif","height":30,"scroll":"https://cdn.quv.kr/ugzfopiwh%2Fup%2F651d1bec8ea49_1920.gif"}

    PHILIABIO

    R&D

    HDA

    R&D

    출처 : 논문
    Viral-Host Dependency Factors as Therapeutic Targets to Overcome Antiviral Drug-Resistance: A Focus on Innate Immune Modulation, Figure 2.

    HDA(Host-Directed Antiviral, 호스트 지향적 항바이러스제)는 
    바이러스 자체를 직접 표적으로 삼는 기존의 항바이러스제(Direct-Acting Antiviral, DAA)와 달리, 
    숙주(host)의 세포 기전이나 면역 반응을 조절하여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는 치료방식의 항바이러스제입니다.

     HDA의 작동원리

     

    - 숙주의 면역 반응 조절
    - 바이러스 복제 억제
    - 숙주 보호 및 세포 생존 조절

     HDA의 장점

     

    - 광범위한 항바이러스 효과
    - 내성 발생 위험 감소
    - 새로운 감염병 대응에 대한 높은 가능성

    면역조절 신약개발

    R&D

    면역 향상성 조절 가능

    - 면역을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균형을 맞추는 방식으로 치료하여 장기적인 건강 유지 가능
    - 자가면역질환, 만성염증질환 등 면역 불균형 관련 질환에 효과적
    - 면역 억제 또는 과활성을 최소화하여 안전성 향상

    부작용 감소

    - 자연에서 유래한 성분이므로 합성 화합물에 비해 독성이 낮고, 인체 적응성이 높음

   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 확보

    - 자연에는 다양한 면역조절 활성 성분이 존재,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기전의 치료제 개발 가능

    데이터 기반 연구 강화

     - 천연물질 DB에서 면역 활성 성분을 탐색하고, 이를 기반으로 질병 유효 물질 DB 구축을 통해 면역 활성 물  질을 체계적으로 분류 및 검증 가능
     - AI 및 빅데이터 분석을 접목하여 신약 후보 물질을 빠르게 선별 가능

    파이프라인

    R&D

    {"google":["Noto Sans"],"custom":["Noto Sans KR"]}{"google":["Noto Sans","agGridMaterial"],"custom":["Noto Sans KR","Nanum Square"]}
    {"google":[],"custom":["Noto Sans KR"]}